과정과 결과/용어

잉여현금흐름

오직 나 자신 2025. 3. 11. 17:00

잉여현금흐름(Free Cash Flow, FCF)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현금에서 자본적 지출(Capital Expenditure)을 제외한 후, 주주와 채권자에게 배분하거나 부채 상환, 재투자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현금을 의미합니다.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주주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.

잉여현금흐름의 계산 방법:

잉여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:

  1.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(Operating Cash Flow): 기업의 주요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현금 유입과 유출을 나타냅니다.
  2. 자본적 지출(Capital Expenditure, CapEx): 설비 투자, 기계 구매 등 장기 자산 취득을 위한 지출을 의미합니다.

따라서,

잉여현금흐름 =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- 자본적 지출

잉여현금흐름의 중요성:

  1. 기업 가치 평가: FCF는 기업이 실제로 창출하는 현금을 보여주므로, 기업 가치 평가 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.
  2. 주주 환원 정책: 잉여현금흐름이 많을수록 기업은 배당금 지급이나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.
  3. 재무 건전성 판단: 지속적인 FCF 창출은 기업이 부채를 상환하고 재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며, 재무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정의와 종류:

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현금과 현금처럼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. 이는 유동성이 높아 단기간에 현금으로 전환이 가능하며, 가치 변동의 위험이 적습니다.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• 현금: 기업이 보유한 지폐와 동전, 은행에 예치된 자금을 포함합니다.
    • 현금성 자산: 단기 투자로서 만기가 3개월 이내이며,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 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금융상품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, 단기 예금, 국공채, 기업어음(CP), 환매조건부채권(RP)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.

 

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되기 위한 조건:

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
    1. 현금으로의 전환 용이성: 거래비용 없이 단기간에 현금으로 전환이 가능해야 합니다.
    2. 가치 변동 위험이 경미함: 이자율 변동 등에 따른 가치 변동의 위험이 적어야 합니다.
    3. 만기 기간: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금융상품이어야 합니다.

 

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회계 처리 시 유의사항:

    • 사용 제한이 있는 자산: 제삼자와의 계약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 요구불예금은 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금융상품과의 구분: 이자와 원금으로만 구성된 예적금은 일반적으로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며, 현금성 자산과는 구별됩니다.

정확한 회계 처리를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거래 조건을 고려하여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적절히 분류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728x90
반응형
LIST

'과정과 결과 >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사물인터넷  (4) 2025.03.13
최소 기능 제품  (0) 2025.03.13
순현재가치  (0) 2025.03.11
투자회수기간  (0) 2025.03.11
감가삼각비용  (0) 2025.03.11